티스토리 뷰

반응형
인터랙티브 아기 열 관리 가이드

아기 열, 당황하지 마세요

부모를 위한 열 관리 인터랙티브 가이드

Part 1. 지금 병원에 가야 할까요?

아래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, 즉시 병원이나 응급실로 가세요.

🚨 응급 상황입니다!

선택하신 증상은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 밤이나 새벽이라도 망설이지 말고 병원이나 119에 연락하세요.

🚨 연령별 위험 신호


🚨 일반 위험 신호

위험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다면, 아래 방법으로 아이를 돌봐주세요.

Part 2.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 처치

🌡️ 1. 정확한 체온 측정 & 기록

고막/비접촉 체온계로 체온을 측정하고, '열나요' 같은 앱에 체온, 해열제 복용 시간, 증상을 기록해두면 진료 시 큰 도움이 됩니다.

💊 2. 해열제, 언제 어떻게 먹일까?

  • 사용 시점: 38도 이상 열이 나면서 아이가 힘들어하고 처질 때
  • 아세트아미노펜 (타이레놀 등): 4~6시간 간격
  • 이부프로펜 (부루펜 등): 6~8시간 간격 (생후 6개월 이상)
  • 교차복용 Tip: 한 종류 해열제 복용 2~3시간 후에도 열이 안 떨어지면 다른 성분의 해열제를 먹일 수 있습니다. (단, 의사/약사와 상의 필수!)

💧 3. 열 내리는 생활 관리법

  • 수분 보충: 미지근한 보리차나 물을 조금씩 자주 먹여주세요.
  • 미온수 마사지: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로 목, 겨드랑이, 사타구니를 부드럽게 닦아주세요. (차가운 물 X)
  • 옷은 얇게: 얇고 헐렁한 옷을 입히고, 실내 온도는 22~24도로 서늘하게 유지해주세요.

Part 3. 상황별 맞춤 조언

To. 맞벌이 부모님께

  • 비상 연락망 구축: 급할 때 아이를 맡아줄 분(양가 부모님, 지인 등)과 미리 상의해두세요.
  • 가족돌봄휴가 확인: 법적 권리인 '가족돌봄휴가'의 회사 신청 절차를 미리 알아두세요.
  • 야간/주말 소아과 리스트업: 집이나 회사 근처 24시간, 야간, 주말 진료 소아과 연락처를 휴대폰에 저장해두세요.

To. 혼자 아이를 돌보는 임산부 부모님께

  • 미리 도움 요청하기: 컨디션이 안 좋다 싶으면 미리 가족, 친구에게 "같이 병원에 가달라"고 요청해두세요.
  • 119 부르기: 위급하다고 판단되면 망설이지 말고 119에 전화해 도움을 받으세요.
  • 셀프 케어: 아픈 아이 돌보느라 끼니 거르지 마세요. 배달 음식을 활용해서라도 꼭 식사하고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.

Part 4. '열 관리 응급 키트' 미리 준비하기

아이가 아플 때 약을 찾아 헤매지 않도록, 작은 상자에 아래 물품들을 미리 구비해두세요.

당신은 이미 충분히 좋은 부모입니다.

이 가이드가 부모님의 불안을 조금이나마 덜어주기를 바랍니다.

반응형